프로젝트 전체 일정
- 기획 단계 7/15~7/28 (1~2주차)
- 개발 단계 7/29~8/24 (3~6주차)
- 프로젝트 발표회 8/25 오후 2시 (필참, 장소 추후 공지)
주차별 일정
- 팀 미팅 1회 + 필요한 경우 자체적으로 추가 (매주 지정된 시간에 할 것)
- 팀 멘토링 (1시간 내외, 디스코드로 진행)
- 1주차: X
- 2주차: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주제 및 방향성에 대한 멘토링 1회
- 3~6주차: 주 2회 기술 멘토링
- uxui+프론트/백엔드 각각 진행
- 본인의 포지션이 아닌 기술 멘토링 시간이어도 주차별 진행 상황 공유를 위해 일단 참여하시고, 그 후 본격적으로 기술 멘토링 시작되면 멘토님께 말씀드리고 나오셔도 됩니다.
- 팀 멘토링 끝나고 바로 다음 일정 정하는 팀 회의 15~20분 가량 추가하는 것을 추천
(매주 팀 회의와는 별개)
- 그 외 회의는 자유롭게 시간 지정하여 진행
당부 말씀
- 한 명이라도 수동적으로 참여하면 프로젝트 발표 때 개발 50%도 못 하고 발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주어진 시간 외에 적극적으로 팀별/포지션별 회의 진행하셔야 서버 배포 겨우 끝낼 수 있습니다. (저번 학기의 경우 단 1팀만 서버 배포 끝냈습니다.)
- 프로젝트는 소통이 제일 중요합니다. 정해진 미팅 시간 외에 카톡이나 디스코드로 계속 개발 현황, 아이디어, 막히는 부분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교류하시길 바랍니다.
- 방학 프로젝트는 점수로 평가되거나 학점이 나오지 않습니다. 결과까지 좋으면 물론 best fit이겠지만,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. 이번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개발 및 협업 능력을 향상하고 내가 더 공부해야 할 분야는 무엇일지, 내가 부족한 것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. 최대한 본인 + 같은 포지션 팀원과 의논하고, 회의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멘토님에게는 최소한의 도움만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.
- 멘토님은 모두 현업자이시며, 주어진 시간에 정해진 비용으로 일 해 주시는 분들입니다. 조금 모르는 게 있다고 구글링도 해 보지 않고 바로 멘토님께 질문하는 것은 멘토님께도 실례이며, 개인 능력 향상에도 절대 도움되지 않습니다. 대부분의 문제는 몇 시간이라도 붙들고 구글링 하면 80% 이상 해결됩니다.
- 팀 멘토링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주제 및 방향성에 대한 멘토링 (10~20%) + 기술 멘토링 (80~90%)로 이루어집니다. 과거 방학 프로젝트와 달리 거의 기술 멘토링 위주이므로 그 외 대부분은 팀 내에서 해결해야 합니다. 이 부분을 고려하여 1팀당 인원수도 대폭 늘렸으니 최대한 능동적으로 프로젝트 참여하고, 의견 나누며 활발하게 협업하시길 바랍니다.
- 깃/깃허브는 개발 단계 들어가기 이전에 숙지하는 것을 적극 권장드립니다. 명령어 하나 잘못 입력하면 여태 했던 작업이 모두 공중분해 될 수도 있습니다…
- 중도 이탈 시 탈퇴 처리됩니다.